[1974~2020년, 전시로 본 통인화랑 역사-⑦]김근태①‥모양 없는 모양의 담론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SNS 기사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톡(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작업실에 인접해 있는 북한산 암벽은 나를 부르는 장소이다. 언제부터 저 커다란 암벽이 나를 불렀는지 모르겠지만 그 암벽은 알 수 없는 세계로 초대한다. 이름 모를 계곡을 따라가다 보면 그 시간과 깊이를 알 수 없는 세계 앞에 숨이 턱 막히곤 한다.

소동파의 ‘여산진면목’이란 글귀를 떠올리다보면 나의 본래 진면목이 무엇인지 상념에 빠져들게 된다. 그 커다란 벽에 부딪혀 앞으로 나아갈 수도 없고 뒤로 물러설 수도 없는 딱한 처지에 놓이는 순간, 나도 모르는 사이 바람소리와 구름 한 점에 그 알 수 없는 처지를 벗어나게 한다.

글귀에 빠져들고 모양에 속는 어리석은 모습이 그 벽 앞에서 형태 없는 형태로써 한줄기 빛으로 보이고, 그 경계를 선과 색으로 옮겨 보았다. 모양 없는 모양의 담론을 부질없이 몇 점 세상에 내보낸다.
△글=김근태(金根泰,단색화가 김근태,김근태 작가,KIM KEUN TAI)작가노트 △전시=통인옥션갤러리(TONG-IN Auction Gallery), 6월15~7월4일, 2016년
기사원문: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403417
키워드
#이코노믹리뷰 #권동철 #김근태 작가 #화가 김근태
0
0